''''''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틀:대한민국 4대 프로 스포츠 리그)(틀:대한민국의 야구 리그)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 1982년 리그 출범 당시부터 2014년까지 리그의 공식 명칭은
한국야구선수권대회(1)였으나 2015년부터 리그 상표 정체성 통합을 위해
KBO 리그라는 브랜드로 재출범하게 되었다. 주관 단체는
한국야구위원회(KBO, Korea Baseball Organization).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 리그 가운데 가장 먼저 출범되었고
(2), 현재 지상파 산하 스포츠 채널 3사
(3)와
SPOTV,
SPOTV2에서 중계를 맡고 있다.
(4)(5) 국내 프로스포츠 리그 가운데 유일하게 모든 지상파 3사 산하의 스포츠채널에서 중계하고 있고, 또 유일하게 여자 리그가 없는 종목이다.
리그 출범 원년에 참가한 구단은
OB 베어스,
MBC 청룡,
해태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삼미 슈퍼스타즈,
롯데 자이언츠(6)이며
(7)(8) 역사적인 첫 경기는 1982년 3월 27일,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린
MBC 청룡과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
1982년 3월 27일, 한국 첫 프로야구 경기. 이날 시구는 당시 대통령이던
전두환이 했고 경기 결과는 삼성 투수
이선희를 상대로
MBC 청룡의
이종도가 끝내기 만루 홈런을 쳐내며
MBC 청룡이 승리를 가져갔다.
2025시즌 기준 총 10개의 구단이 참가하고 있으며, 각 구단의 9개 연고지 홈구장에서 경기가 열리고 있다.
(9) 일부 구단에서는 연고 도시에 인접한 인근 지역에도 제2 홈구장을 지정해 홈경기를 분산 개최한다.
(10)NC 다이노스와
키움 히어로즈 2팀
(11)을 제외한 모든 구단이 한국 대기업 소속이다.
(12)4대 리그 중 모든 팀이 흰 유니폼을 홈 유니폼으로 쓰는 유일한 리그이며
(13)(14) 미디어 표기에 홈을 나중에 표기하는 유일한
(15) 리그이기도 하다. 농구는 2010-2011 시즌부터 밝은 색상을 홈 유니폼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으며
(16), 축구와 배구는 금지되지는 않았으나
(17) 흰 유니폼을 홈 유니폼으로 쓰는 팀은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가 유일
(18)하다.
자세한 내용은
KBO 리그/역사 문서
를
의 [[KBO 리그/역사#s-|]]번 문단을
의 [[KBO 리그/역사#|]][[KBO 리그/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개 팀이 참가하는 페넌트 레이스는 매년 3월 말~4월 초에 시작해서 빠르면 10월 초, 늦어도 10월 말에 끝난다. 팀당 144경기를 치르며, 이 중 73경기를 각 팀의 홈구장에서
(19) 치르고 나머지 71경기는 원정 경기로 치른다.
(20) 개막전은 당해 시즌의 직전 시즌 최종 순위를 기준으로 상위 5개 팀이 첫 개막 시리즈 5연전의 홈경기 개최 권한을 가진다.
(21)(22)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23)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빠지지 않고 경기가 열리며, 모든 경기가
스포츠 TV 채널과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서 생중계된다. 다만 실외 야구장에서 열리는 종목 특성상 비가 오는 날에는 경기가 열리지 않을 수 있다.
(24)(25) 이 때문에
장마철에는 경기 취소가 잦은 편이다. 또한 실외
중국발
황사 또는 중국발
미세먼지 영향으로 인한 미세먼지 농도가 짙어져서 미세먼지 관련 기상 특보가 발령될 경우에도 경기가 취소되기도 하며, 매우 드물지만 눈이 내릴 때나 혹한이 몰아칠 때도 경기가 취소된 적이 있다. 2024년에는
폭염으로 경기가 취소되는 경우도 발생했다.
평일(화요일~금요일)은 계절 상관없이 항상 오후 6시 30분에 시작한다.
(26) 금요일에 한해 홈팀 재량으로 시작 시간을 오후 7시로 30분 늦출 수 있다는 규정이 있지만, 2025년 현재 이 규정을 적용하는 팀은 없다.
주말과 공휴일의 경기 시작 시각은 월별로 다르다. 우선 봄에 해당하는 3~5월과 가을에 해당하는 9~10월에는 토요일 오후 5시, 일요일/공휴일 오후 2시에 시작한다. 단, 토요일에 열리는 개막전은 전 경기 오후 2시에 시작하고, 토요일 경기에 지상파
(27) 중계가 편성된 경우에도 시작 시간이 오후 2시로 앞당겨진다.
초여름에 접어드는 6월에는 토요일과 일요일 모두 오후 5시에 시작하며, 한여름인 7~8월에는 토요일과 일요일 모두 오후 6시에 시작한다. 원래 일요일은 다음날 출근해야 하는 관중들을 고려해 혹서기에도 오후 5시에 시작했지만
지구 온난화로 폭염이 점점 심해짐에 따라 2025년부터 토요일과 같은 6시로 늦춰졌다. 단, 여름에도 시원한 환경에서 야구를 즐길 수 있는
고척 스카이돔의 경우 6~8월에도 일요일 경기는 2시에 시작한다.
포스트시즌의 경우 평일은 6시 30분, 주말/공휴일은 2시 시작으로 고정되어 있다.
참고로 1998년까지는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모두 오후 2시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28), 1999년 토요일 경기를 평일과 동일한 오후 6시 30분에 시작하면서 낮 경기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2000년 이후 토요일 경기 개시 시각이 오후 5시와 오후 6시 30분으로 계속 바뀌었으나 2009년 이후로는
혹서기 제외 오후 5시 시작으로 고정되어 있고,
지상파 중계나 개막전 제외 토요일 오후 2시 경기는 사라졌다. 일요일 경기는 선수들의 신체 리듬과 활동 시간대를 고려해 2007년 경기 시작 시각을 오후 5시로 변경하면서 지상파 중계 등을 제외한 모든 경기를 야간으로 돌리는 시도를 한 적이 있다. 그러나
메이저 리그도 낮 경기는 상당수 진행하고 있고, 팬들의 월요일 출근 일정 등을 고려해 달라는 요청에 따라 현재는 혹서기 제외 오후 2시 시작으로 고정되어 있다. 주중 경기 개시 시각을 늦춰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있어왔고,
하일성 사무총장 때는 혹서기에 한해 오후 7시에 경기를 개시한 적이 있으나
(29) 아직까지는 오후 6시 30분 시작 체제를 고수하고 있다. 리그 초창기에는 혹서기 기준을 7월과 8월로만 잡았으나,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강해져 혹서기 기간이 길어지는데다 지상파 중계의 필요성이 감소하면서 갈수록 낮 경기 편성이 적어지는 것이 KBO 리그 경기 편성의 특징이다.
리그 내 시즌 순위는
승률순으로 산정하며, 승률순으로 상위 5개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며 진출에 실패한 팀의 순위는 그대로 확정된다. 포스트시즌 진출을 가리는 상황에서 시즌 종료일까지 승률 기준 공동 1위와 공동 5위가 있을 경우
순위 결정전 경기를 치른다.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한 팀은 순위 확정이 아닌데, 이는 페넌트 레이스 순위가 포스트시즌과 종속 관계에 있는 규정에 이유가 있다.
농구와
배구도 포스트시즌 우승이 진짜 우승인 건 맞지만, 이 결과로 인해 기껏 얻은 정규시즌 최상위 순위가 없는 것 취급받는 건 아니다. 그러나 KBO 리그는 정규 시즌 순위표도 "한국시리즈 우승 팀을 1위로, 패배 팀을 2위로 기재"한다는 규정이 있으므로 아래 순위 팀이 위 순위의 정규 시즌 순위를 강탈하는 게 가능하다. 단, 이는 어디까지나 아래 순위 팀이 한국시리즈에 올랐을 때에만 해당하며 아래 순위 팀은 위 순위 팀을 업셋하더라도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하면 정규 시즌 순위 그대로 확정된다.
1군 엔트리는 28명까지 등록할 수 있으며, 그중 26명만 경기에 출장할 수 있다(28명 등록 26명 출장). 9월 1일부터는 확대 엔트리가 적용되어 각각 5명이 추가된다(33명 등록 31명 출장). 외국인 선수는 2014년부터 3명까지 보유할 수 있으며, 2020년부터 3명이 동시에 출장할 수 있다(3명 보유 3명 출장). 다만, 이때 3명을 모두 투수로 하거나 타자로 할 수는 없다. 보통은 투수 2명과 타자 1명 조합으로 구성한다.
2025년 키움 히어로즈는 외국인 투수 1명과 타자 2명으로 시즌을 시작한 첫 사례가 되었다.
(30)문서 가져옴
